포스코경영硏 전망, 중국・대만・일본 등 새 투자처 ‘급부상’
2020년까지 3년간 전세계 신규 설비 약 10GW 추가 예상

유럽에서 발달해 온 해상풍력 산업이 아시아에서도 부상하고 있다. 중국과 대만, 일본 등이 해상풍력의 새로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 경영연구원은 14일 해상 풍력에 관한 보고서를 내고 2020년까지 3년간 전 세계 해상풍력의 신규 설비가 약 10GW 용량 이상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중국과 대만, 일본, 한국에서 해상풍력 신규 설비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재생에너지 보급의 선두주자인 중국은 당장 내후년까지 해상풍력 발전기 10GW를 착공하고 5GW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동부 연안 주요 도시들의 대기오염을 해소하고 전력수급의 지역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현재 중국 내 설치된 대부분의 육상 풍력발전기는 전기 수요가 많지 않은 서북부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수요가 많은 동부 연해로 송전을 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과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중국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쑤, 저장, 푸젠, 광둥 등 동부 주요 도시와 가까운 바다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블룸버그 뉴 에너지 파이낸스는 중국의 신규 해상풍력 설치용량이 올해 1.2GW, 내년 1.8GW, 2020년 2.5GW에 달해 향후 5년 내엔 세계 1위의 해상풍력 설치 국가로 등극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 역시 최근 해상풍력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만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해상풍력 설비용량 목표는 5.5GW다. 대만 정부는 3.8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 입찰을 실시, 지난 4월 11개 프로젝트를 낙찰했다.

해당 프로젝트들은 20년간 고정 FIT 매입가격을 보장받게 된다. 더해서 해당 입찰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은 대만 기업뿐 아니라 덴마크의 Orsted, 독일 wpd 등 해외 5개 업체가 포함됐다. 이 때문에 Orsted, Siemens Gamesa 등 해외 유수의 터빈 업체들은 대만시장 선점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일본 역시 부유식 해상풍력을 포함해 다수의 실증 프로젝트를 실시하면서 해상풍력 설비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3월 해상풍력 사업을 활성화하고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관련 법안을 제정했다. 해당 법안에는 5개의 해상풍력 촉진 구역을 지정하고 사업자의 사업 기한을 최장 30년으로 연장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보고서는 ‘미쓰비시나 미쓰이 등 일본 상사들이 유럽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투자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아시아 해상풍력 사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와 같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내 풍력개발은 유럽과 달리 위험 요소가 많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1990~2000년대부터 서서히 싹을 틔워 2010년대에 들어선 최근에야 성장기를 맞이한 유럽과 달리 아시아 국가들의 해상풍력 확대는 최근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됐기 때문이다.

특히 유럽에 비해 프로젝트 개발 경험 부족, 대형 터빈 등 기자재 제작·공급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이 사업의 걸림돌로 꼽힌다. 중국 외에는 대규모 해상풍력 상용 프로젝트 개발·운영 경험이 부족한 데다 전력 인프라, 설치 선박, 부두 시설 등의 공급사슬이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유럽은 터빈과 하부구조물, 케이블, 전용 선박 등 기자재 제작·공급을 비롯해 개발·설치·유지·보수에 이르는 전반적인 해상풍력의 공급사슬이 구축됐기 때문에 산업의 성장기를 맞을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