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아파트 공급 늘면서 지난달 전세비중 72.1% 까지 증가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에서 지난달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넘는 등 다시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초저금리 현상 지속으로 ‘전세의 종말’을 점쳤던 것이 최근 몇 년간의 분위기다.

하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고, 전세 공급량이 늘면서 이 같은 분위기를 반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1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거래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1만3457건 중 전세는 9696건으로, 72.1%의 비중을 나타냈다. 지난해 5월(67.3%)과 비교하면 4.8%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강서(80.9%), 강동(80.0%) 등은 80%를 돌파했으며, 양천(78.7%), 광진(78.2%), 강북(77.9%), 은평(77.1%) 등도 높게 나타났다. 구로(70.0→69.9%), 금천(77.2→69.3%)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강남·북을 가리지 않고 전반적으로 전세의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의 서울의 아파트 전·월세 시장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그동안 서울 아파트 시장은 월세의 비중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움직여왔다. 2014년 10월 78.7%까지 치솟았던 전세 비중은 2016년 3월에는 61.9%까지 떨어졌고 60%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전세 비중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7월 70.2%로, 70%의 고지를 재탈환했고 이후에도 월세 대비 거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전세 비중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 전세 시장에 공급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한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에 15만3666가구가 입주한 데 이어, 올해도 19만7662가구가 차례로 들어선다.

여기에 정부의 대출규제까지 심해진 상황에서, 집주인은 새 아파트에 입주하기 위한 잔금을 치르기 위해 가지고 있던 집을 전세로 내놓는 데다, 이들 새 아파트들의 상당수가 다시 전세 물량으로 시장에 나오면서 전반적으로 전세 공급이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반면 최근 잇단 정부의 규제에 집값이 약세를 보이자, 집 수요자 우위의 시장으로 상황이 돌변한 것도 원인 중 하나다. 집주인이 집을 월세로 내놓고 싶어도 시장에 수요가 적다보니 잘 나가지 않고 있다.

반면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세입자들로서는 정부 규제에 집값이 약세를 보이자 사태를 관망하며 교섭력을 키우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전세 시대’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새 아파트가 속속 입주를 지속하면서 시장에 전세 공급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내년에도 서울에 3만856가구를 포함해 수도권에 15만1075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수도권에 입주 물량이 많은 반면 세입자들의 교섭력이 커지면서 서울의 아파트 전·월세 시장은 안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 상황은 입주물량 증가와 세입자의 교섭력 증가에 따른 단기적인 과정”이라며 “장기적으로 전세가 사라지는 방향을 돌려세울 정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