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전기차 핵심기술 이슈 및 미래전략’서 의견 공유

세미나허브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8년 친환경 전기자동차 핵심기술 이슈 및 미래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이근우 기자
세미나허브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2018년 친환경 전기자동차 핵심기술 이슈 및 미래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이근우 기자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전기차(EV), 수소연료 전지차(FCEV) 등 4개 타입으로 친환경차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친환경차 업계 관계자들은 24일 세미나허브가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한 ‘2018년 친환경 전기자동차 핵심기술 이슈 및 미래전략’에서 공통적으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당초 일정과 달리 프로그램 순서가 다소 변경되긴 했으나 세션1에서 ‘정부정책 및 자동차업계의 미래전략’이 주로 논의됐다.

윤주호 메리츠증권 팀장은 “전기차는 2010년 처음 등장하고 나서 2015년쯤 인프라가 어느정도 구축됐고 수소차는 2013년 나오고 지금(2018년)에서야 인프라가 조금씩 깔리는게 보인다”며 “결국은 글로벌 오토메이션이 전기차, 수소차 모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정책이 수소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수소차가 먼저냐 스테이션(인프라)가 먼저냐 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자면 인프라가 우선”이라며 미국·중국·일본·독일의 제도와 정책을 예로 들었다.

홍성훈 프로스트앤설리번 이사는 “장거리 주행의 경우 하이브리드의 기세가 끝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수소전기차는 버스·트럭 등 상용차를 중심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주행루트가 정해져 있어 메인 포인트 몇군대만 있다면 최소한의 인프라로 최대효과를 낼 것이란 설명이다.

홍 이사는 또 “자동차 판매가 줄고 있어 완성차(OEM)들은 기업용 차 판매를 늘릴 수밖에 없다”며 “전기차로 공유 서비스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이 차를 사면 대부분의 시간을 주차장에 세워두지만, 쉐어 서비스와 결합하면 운행이 많아져 부속품 교체 등 추가 수요가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마지막으로 OEM의 전략방향으로 ▲주행거리 향상(배터리 효율 향상, 배터리 소재 다양화, 상용차 중심의 FCEV도입) ▲경제성 향상(배터리 구동계 소재확보 가열화, 폐배터리 재활용 확대, 경량 소재, 주행거리별 EV 포트폴리오 구축) ▲인프라 확대(EV 충전소 보급, 무선 충전, 친환경 전기 충전,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충전) 등을 꼽았다.

이창하 현대차 책임은 “현대·기아차의 미래 모빌리티 3대 방향성은 인터넷과 연결된 스마트한 이동수단, 친환경적 경제적인 이동수단,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수단”이라며 “연평균 25% 성장, 2025년 1627만대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사실 전기차, 수소차 시장 규모가 얼마나 커지는지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는 조사 기관마다 달라 예측하기 쉽지 않다”면서도 “그래도 2020~2025년 사이에 친환경차 보급이 확대된다는 전망은 공통적”이라고 전했다.

이용복 르노삼성차 팀장은 “국내 전기차 판매는 2020년 20만대, 충전기 보급은 4200대로 추정한다”며 “르노의 경우 전기차 사업 초기에 이용 편의성을 검토해 하나의 소켓으로 완속·급속 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또 “르노삼성은 현재 트위지, SM3 등 2종류의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지만 앞으로 조에, 상용 전기차 밴을 들여올 것”이라며 “2021년 이후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E-파워트레인 적용 모델을 8개로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기열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항공과 사무관은 “올해 전기차 보조금 신청이 2만대였는데 지난달에 모두 동이 나서 추가로 6500대를 편성할 정도로 전기차 시대 빨리지고 있다”며 “국내 전기차 보급은 2022년까지 35만대, 급속충전기는 1만기 구축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사무관은 이어 “올해 전기차 분야 연구개발(R&D)에 200억원 가량을 지원할 방침”이라며 “아직 10년된 전기차가 없긴 하지만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