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조합 세번째 도전…대·중기간 명분싸움 재점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 지정을 놓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명분 싸움이 다시 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조합(이사장 곽기영)은 6월 중에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 지정 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전기조합 관계자는 최근 기자와 만나 “1000kW

(1MW)이하 ESS에 대한 중기간 경쟁제품 지정을 다시 추진한다”면서 “6월에 중소기업중앙회에 지정 추천을 공식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기영 이사장도 ESS의 경쟁제품 지정을 임기 내 숙원 사업 중 하나로 꼽은 바 있다.

전기조합의 ESS 경쟁제품 지정 노력은 이번이 세 번째 도전이다. 2016년 12월과 2017년 2월에 의욕적으로 작업을 벌였지만, 수포로 돌아간 바 있다.

여기엔 산업통상자원부의 반대가 컸다.

산업부는 그동안 ESS의 공공조달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고 업체의 무분별한 난립 우려, 이해 관계자의 충분한 의견수렴 미흡 등을 이유로 중기 간 경쟁제품 지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대기업도 이에 동조하며 비슷한 스탠스를 취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ESS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게 우선이라는 의미다. 중기 간 경쟁제품으로 진입장벽을 치는 것은 시기상조고 전체 시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반면 중소기업계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는 판단이다. 시장 형성 시그널이 곳곳에서 나오는 만큼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위해 경쟁제품 지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산업 초기에 시장을 키우기 위해 대기업을 중심으로 제도가 운영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러나 시장이 어느 정도 형성된 만큼 국내 기업 보호장치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전기조합도 과도한 가격경쟁으로 인한 품질저하, 중국산 등 외산 제품 유입으로 인한 국내기업의 경쟁력 상실 등을 근거로 경쟁제품 지정을 강조하고 있다.

전기조합 관계자는 “조달 시장 활성화와 대·중소기업 간 역할 분담 등 시장 분위기를 감안할 때 이제는 일정 용량 이하의 ESS 시장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면서 “제도적 장치를 통해 안정적인 시장이 확보되면 중소기업도 기술개발과 투자를 더욱 강화하며 자생력을 높여갈 수 있다”고 말했다.

중기 간 경쟁제품은 지정 추천 신청서 검토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11월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위원회를 열어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ESS의 중기 간 경쟁제품 지정을 둘러싼 논란은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국내 ESS 시장은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 ESS활용 촉진 요금제, 신재생 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부여 등 정책적 지원을 등에 업고 2020년 약 8600억원대로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도 2020년 150억달러(약 16조1800억원)에서 2025년 292억달러(약 31조5200억원)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