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 발전 사업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은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금 당장은 몇 기의 발전설비를 설치하는데 급급할 게 아니라 단지 조성 개발을 통해 풍력산업 시장 자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20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가 주최한 춘계학술대회에서 재생에너지 3020 시행방안에 대해 강연에 나선 성진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해상풍력팀 팀장은 풍력사업의 보급을 위해서는 해상풍력 발전의 단지조성 개발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단지 조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한다”며 “해상풍력단지를 통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꾀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대규모 발전단지의 조성을 통해 지역의 주력산업을 육성하고 민간투자를 유도해 융복합 단지를 만들어야한다는 것이다.

성 팀장은 지난 정부에서 지연된 풍력발전 사업을 지적하며 "이번 정부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성 팀장에 따르면 서남해 해상풍력은 1단계 단지 구축 과정에서 용량축소와 사업기간 연장 등 일련의 과정을 겪으며 당초 계획보다 5년이 지연됐다. 그는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에서는 터빈 기자재 기업도 1개 기업만 참여하는 등 경쟁 구도가 상실됐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이 벌어진 이유에 대해 그는 “사업자와 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는 수용성 문제 뿐 아니라 인허가에 대한 사전 이해와 조율이 미흡했다”며 “전략적인 경제성 판단도 부족했다”고 꼬집었다.

그는 전반적인 풍력산업 침체의 원인을 ‘정책 신뢰성’과 ‘실행계획 수립 미흡’으로 꼽았다.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서남해 사업이 지연되고 주요 기자재 업체가 사업에서 손을 뗀 것은 수용성과 인허가, 경제성에 대한 정책이 실종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자연히 추진 동력도 상실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번 정부에서는 지난 정부와 같은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며 “정책 신뢰성을 회복하고 사업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문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실시된 지 1년이 됐지만 변한 게 별로 없어 걱정이 된다”는 말도 덧붙였다.

성 팀장에 따르면 전략적인 단지 개발은 해상 풍력의 산업화를 선순환 시킬 수 있는 도구다. 지역 주도의 시장 조성으로 주력 산업이 연계되고, 그렇게 되면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수용성이 해소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지역 경제가 성장할수록 민간 투자도 활발해져 풍력산업 전체에 활기가 돌 가능성이 높다.

그는 “(해상풍력단지 조성의) 첫 단계로 2~3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10개 정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원하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전략적인 단지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해 “터빈과 부품 제조 업체의 성장 잠재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풍력부품 산업은 조선 기자재 제조공정과 상당부분 일치한다”며 “조선기자재 산업의 기술력으로 타워나 블레이드, 기어박스 같은 부품 제조가 가능한 만큼 풍력산업의 발달은 비슷한 산업들의 발전을 도와 융복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에 있어서는 선단구성과 항만이 필수적이므로 운송과 설치사업이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