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개발제한구역이던 도봉·사당·수색 등 12곳 선정

지난 50년간 지속된 개발억제정책으로 소외돼 온 도봉·사당·수색 등 서울-경기 접경지역 12곳에 대한 개발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들 12개 접경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세워 재생사업을 추진한다고 22일 전했다.

지난 50년간 추진해 온 ‘보존’위주의 서울-경기 접경지역 관리 정책을 ‘보존’과 ‘개발’의 투 트랙 방식으로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이번에 서울시가 선정한 접경지역은 ▲사당 ▲도봉 ▲온수 ▲수색 ▲강일 ▲구파발 ▲개화 ▲양재 ▲수서 ▲석수 ▲신내▲신정 등 12곳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 1970년대부터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 환경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개발제한구역·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돼 왔다.

하지만 이 곳은 폐기물, 음식물처리장 등 주민기피시설과 불법건축물이 난립하는 애물단지가 됐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자연 환경도 심하게 훼손된 곳이 많았다.

이에 시는 접경도시 재생을 위해 올 상반기 중에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종합계획 수립’에 나설 방침이다. 이들 지역 중 자연 보존이 필요한 곳은 확실하게 보존하고, 나머지는 일자리와 주거, 문화·여가·복지가 어우러진 거점으로 조성해 나가겠다는 설명이다.

사업은 권역별 균형을 고려해 3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사업에는 사당(동남), 도봉(동북), 온수(서남), 수색(서북) 등 4곳이 선정됐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 개화다. 3단계 사업지는 신정, 석수다.

우선 시는 사당역과 남태령역 사이 구간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사당이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중이 42%일 정도로 청년이 많은 곳이라는 점에 착안해 ▲일자리 인큐베이터(지식산업센터, 청년창업지원시설 등 총 2만8000㎡) ▲청년·신혼부부 주택(200여 세대) ▲문화·활동 공간이 집약된 청년특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출·퇴근시간대 통근·통학버스 정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통근·통학버스 전용 정류장'도 만든다. 채석장 폐쇄 후 오랜 기간 방치된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을 위한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공공조경공간으로 꾸릴 예정이다. 나대지와 이용도가 낮은 부지가 많은 관악구 남현동 일대는 공공이 주도해 사업의 속도를 낸다.

컨테이너와 폐기물처리장 등이 있는 도봉은 동북권 최대 규모(11만㎡)의 체육·문화·생태단지로 조성한다. 광역중심으로 성장하는 상암과 가깝지만 상대적으로 낙후한 수색에는 코레일과 협력해 철도 중심 첨단물류기지, 물류지원단지를 조성한다. 낡은 공장과 물류 창고가 몰려 있는 온수에서는 새로운 산업 기반을 육성키로 했다.

수서역세권개발사업, 강일첨단업무단지 등 지역별 개별사업이 추진 중인 수서와 강일, 양재, 구파발 등 4곳도 관문도시로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그동안 방치했던 시 외곽의 소외지역을 지역 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라며 “서울의 대표적 현안인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