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 가중치・특례요금제 등 정부 정책 주효

국내에 보급된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누적 용량이 1GWh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3년부터 ESS 보급이 본격화 된 후 5년 만에 거둔 성과다. 지난 2년간 정부가 ESS 보급 정책 제도 개선을 이루고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적용한 덕이다.

지난해 10월까지 국내 신재생발전소와 송배전망, 산업체와 건물 등에 적용된 ESS 배터리의 누적 용량은 약 770MWh다. 한 업계 관계자는 “11월, 12월 두 달간 보급 수량을 더하면 1GWh를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ESS 보급 정책이 탄력을 받아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ESS 보급규모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예상했던 것보다 컸다. 산업부는 2017년 ESS 보급규모를 2016년보다 20% 늘어난 270MWh로 예측했지만 이미 10월말에 누적된 배터리 용량은 277MWh를 기록했다. 이처럼 ESS 보급이 늘어난 이유는 정부의 적극적인 ESS 보급 지원정책이 투자 수요를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지원정책은 태양광 발전에 ESS를 연계할 시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을 부여하는 것이다. 태양광 발전 연계형 ESS는 일조량이 좋은 낮에 생산된 전기를 충전한 뒤 REC 가중치를 부여하는 저녁 시간대에 방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2016년 9월 정부는 태양광 연계형 ESS REC 가중치 5.0을 신설하면서 2020년까지 약 4400억원(800MWh)의 ESS 시장 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태양광 발전시설만 설치할 때보다 ESS를 연계해 설치할 경우 월 수익이 2~3배 더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급규모가 늘어났다.

당분간 태양광 업계에서 ESS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가 태양광 연계 ESS REC 가중치 5.0을 올해 6월 말까지 그대로 지속하겠다고 밝혀서다. 지난 연말까지만 해도 올해 가중치는 하향 조정될 것으로 점쳐졌었다. 지난해 ESS를 설치하고 싶어도 리튬이온 배터리 수급부족 등의 이유로 사업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가 있었던 만큼 업계는 한시름 놨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초부터 시작한 ESS 전용특례요금제도도 보급 확대에 역할을 했다. ESS의 경우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비 등 초기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규모가 크지 않은 이상 쉽게 설치하기 어렵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고자 한전에서는 2015년부터 ESS와 관련해 특례 할인을 실시해왔다. 경부하 시간대인 심야시간 충전전력의 10%에 해당하는 전력요금을 할인해 준 것이다. 이후 2017년 1월부터는 경부하 시간대 ESS 충전요금에 대한 할인율을 최대 50%까지 올려 사업자들의 투자비 부담 경감을 꾀했다.

또 한전은 2019년까지 한시적으로 ESS 피크감축량에 해당하는 기본요금을 3배까지 할인한다. 이미 2016년 4월부터 기본요금을 할인해왔지만 투자비용이 비싸 보급실적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할인액수를 올렸다. 2020년부터 2026년 3월까지는 피크감축량에 해당하는 기본요금만 할인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ESS 설치 투자비의 회수 기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업계 관계자는 “ESS 설치 투자 비용을 보전받기까지는 평균적으로 6~9년이 걸린다”며 “하지만 4년 가량의 짧은 시간 안에 투자비를 보전받는 업체도 나타나면서 ESS 설치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계속해서 모이는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