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이후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그동안 쌓은 원자력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수출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7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국원자력안전아카데미 주최로 열린 ‘제49차 원자력원로포럼’에서 참석자들은 현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대응해 해외 수출로 활로를 찾아야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날 개회연설을 맡은 정근모 전 과학기술처 장관은 “20세기는 산유국이 주도했다면 21세기 초일류 국가는 환경보호 에너지를 공급하는 ‘산전국’이다”라며 “산전국은 두뇌자원을 확보해야하는데 한국은 역량이 충분하고, 원전 수출 등으로 산전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의 원전은 세계 최고의 안전성을 갖췄고, 인력·연계산업 등 생태계를 구축했다”며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박인식 한국수력원자력 원전수출처장은 세계 원전시장은 국가 대항전의 양상을 띠고 있어 정상외교를 통해 국가차원에서 수주전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처장은 “중국·러시아·일본 등 경쟁국들은 정부가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특히 러시아는 발주국가에 거의 100%에 가까운 재정을 지원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외 원전수주의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박 처장은 “전 세계적으로 18개국에서 160기 정도의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 중 원전건설기술을 보유한 프랑스, 러시아, 일본, 중국 등 제외한 70기 가량의 원전시장이 열려있다”며 “한국은 UAE 바라카 원전건설에서 공기와 예산을 준수하면서 신흥 공급국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발주국의 요구에 맞춰 안전기준과 품질수준을 유지하는 설계·개발·공급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제발표에 이은 패널토론에서 정범진 경희대 교수는 “신규 원전 건설이 백지화되면서 중소기자재업체들의 공급망(Supply Chain)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원전수출을 통해 추가발주를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진수 전 사우디아라비아 대사는 사우디 원전수출에 대해 “한국이 1970~80년대 사우디에서 건물 등 인프라를 건설하면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줬고, UAE 바라카 원전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사우디가 다수호기를 건설한다면 한국이 그 중 몇 기는 수주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첫 원전발주는 전략적 이해관계를 심각하게 고려할 것이고, 미국과 사우디의 원자력 협정을 맺지 않은 것이 우리에게 약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희용 전 한국전력 본부장은 UAE 원전 수출을 되짚으며 “UAE가 한국을 선택한 이유를 상기해본다면 2017년 준공목표 달성 가능성과 파트너십, 원전의 안전성, 주계약자로서 책임완수, 인력양성지원, 그리고 경제성이었다”며 “현재 1호기 건설을 끝낸 상태에서 상업운전이 지연되고 있고, 파트너십도 계약관계로 완전히 바뀌었다. 이에 관한 원자력계의 자성이 먼저이며, 이후 정부의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장순흥 한동대 총장은 “원전 수출 생태계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앞으로는 현 정부와 등을 지는 모습은 최소화해야 한다”며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손해이고 종사자들에게도 괴로운 일이다. 정부도 원전수출 의지가 강한 만큼 원자력계가 화합과 화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