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경쟁물량 등 놓고 입주기업-비입주기업간 갈등도
정주여건 개선 등 한전・지자체・업계 전체 머리 맞대야

한전이 2014년 본사 이전과 함께 야심차게 추진했던 에너지밸리 조성 사업이 첫 암초를 만났다.

기업들은 한전이 ‘2020년 500개 기업 유치’라는 목표치 달성에만 매몰돼 사업이 속도전으로 치달으면서 그간 곪았던 문제들이 터져나오는 것이라며 이를 슬기롭게 해결하는 데 한전과 업계 전체가 힘을 보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입주기업들이 첫 손에 꼽는 문제는 ‘사람’이다. 기업들은 회사의 사활을 걸고 입주한 에너지밸리에 양질의 인력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한다.

일부 기업에선 본사 인력들이 정주여건 등을 이유로 에너지밸리 이전을 거부하는 등 기업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한전은 부족한 인력문제를 해결하고자 관내 대학들과 함께 인력양성과정을 개설하는 등 양질의 인재 발굴에 나서고 있다. 일자리 드림제도 등을 통해 입주기업 근로자의 장기재직을 유도하는 데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

전남도와 나주시 등 지자체에서도 에너지밸리 입주기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자 버스 노선 신설, 기업 임직원 대상 기숙사 임차지원 등 정주여건 개선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한전과 지자체의 이러한 노력들이 입주기업들의 눈높이를 맞추기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게 입주기업들의 전언이다.

에너지밸리 입주기업과 비입주기업 간 갈등의 골도 깊어지고 있다.

한전이 기업들의 입주를 유도하고자 제시했던 제한경쟁 물량 확대 전략이 비입주기업들의 크고작은 불만을 야기하면서 논란은 양 측의 감정싸움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스마트미터 입찰을 앞두고 불거진 직접생산 확인기준 변경 문제도 입주기업들의 공분을 사면서 이에 대한 불만도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전이 이전한 전남 지역에 글로벌 스마트 에너지허브를 육성한다는 한전의 구상에는 동의하지만 정주여건 등 인프라가 없는 상황에서 급하게 기업을 유치하다보니 그간 쌓였던 불만들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라며 “에너지밸리의 더 큰 도약을 위한 성장통이라 생각하고 한전과 업계가 문제 해결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