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파스-타’도입 및 확산 협력 MOU 체결

LG CNS가 정부 지원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에 의해 개발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PaaS-TA)’를 공식 도입한다.

과기정통부는 18일 LG CNS가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서병조)와 파스-타 기반의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 및 개방형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스-타는 행정안전부 등의 수요 제기로 과기정통부가 지원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PaaS; Platform as a Service)이다. 정보화진흥원의 주관 하에 크로센트, 비디, 클라우드포유 등 국내 중소 전문기업들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현재 2.0 버전까지 공개됐다.

MOU를 통해 LG CNS는 ▲파스-타 신규 기능 우선 테스트 협력 ▲양 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기적 정보·기술·인력 교류협력 ▲파스-타를 세계적 품질 수준으로 첨단화 등을 위해 힘을 모은다.

과기정통부 측은 코스콤, SK C&C, KT에 이어 LG CNS까지 ‘파스-타’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합류함으로써 개방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앞으로 국내 클라우드 응용생태계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정보화진흥원은 이번 MOU를 통해 LG CNS와 협력, 클라우드 파운드리 기반의 한국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더욱 고도화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국내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의 자생력 강화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LG CNS는 올해 말로 예상되는 공공용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획득한 뒤 공공부문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시 오픈소스 기반의 ‘파스-타’를 활용해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클라우드 플랫폼(PaaS)은 클라우드 인프라(IaaS)의 가치를 높이고, 응용SW(SaaS) 개발환경과 운영자동화를 지원하는 등 클라우드 생태계 형성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아마존, 구글, IBM, MS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사 플랫폼 중심의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분야다. 최근 범용 플랫폼을 넘어 산업별 특화 플랫폼으로 더욱 전문화·세분화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고도의 기술력과 장기적 투자를 요하는 PaaS 분야에 대한 투자가 미미하고, 비싼 외산 PaaS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플랫폼 종속성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 기술력 기반 오픈소스로 개발된 ‘파스-타’의 확산은 특정 기업 플랫폼에 대한 종속성 방지는 물론, 자동확장기능(Auto-scaling), 사용자 중심 개발환경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들에게 클라우드 이용가치를 높여주는 등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용수 과기정통부 차관은 “데이터혁명 시대의 필수 인프라인 클라우드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개방형 플랫폼인 ‘파스-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클라우드컴퓨팅법 시행 2년을 맞아 클라우드가 본격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업을 바탕으로 파스-타의 발전은 물론, 클라우드 기반의 4차 산업혁명 실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영섭 LG CNS 대표는 “정보화진흥원과 LG CNS의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 상호협력을 통해 국내 파스-타 기반의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공동연구 등 시너지를 통해 파스-타가 진일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서병조 정보화진흥원장은 “LG CNS 등 클라우드 분야 대표 기업들의 참여로 파스-타 생태계가 한층 확대돼 국내 응용서비스를 인프라 제약없이 개발·유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보화진흥원은 주관기관으로서 파스-타가 향후 글로벌 시장을 견인할 수 있는 첨단성과 풍부한 기능을 갖추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