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지역 REC 가중치 확정이 관건, 6월말 연구용역 나올듯

3년째 지지부진한 에너지자립섬 구축사업이 문재인 정부 들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업계에선 새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에너지자립섬 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에너지자립섬 참여기업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도 환경을 중시하고 있고, 이낙연 총리 후보자도 전남도지사 재임 당시 에너지자립섬을 육성한 바 있다”며 “섣부른 기대는 금물이지만 에너지자립섬을 갑작스럽게 무산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너지자립섬은 섬 지역의 디젤발전기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지난 2015년 2월 디젤발전기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섬 지역에서 에너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자립섬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에너지자립섬 사업의 대상지역으로는 울릉도, 덕적도(인천 옹진), 조도(전남 진도), 거문도(전남 여수), 삽시도(충남 보령), 추자도(제주) 등 6개 섬이 선정됐다. 사업자는 울릉에너피아(울릉도), KT 컨소시엄(덕적도), LG CNS 컨소시엄(조도, 거문도), 우진산전(삽시도), 포스코 컨소시엄(추자도)이 맡았다.

그러나 그동안 에너지자립섬 사업은 별다른 진척 없이 시간만 지체되고 있다. 산업부에서는 참여기업과 한전이 향후 20년간 전기를 판매하기 위해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면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울릉도 에너지자립섬의 경우 지난해 10월 PPA 체결 이후 착공은 늦어지고 있다. 다른 섬은 아직 PPA조차 체결하지 않았다.

사업이 늦어지는 이유는 수익성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참여기업들이 섣불리 나서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 수익 예측이 안 되는 상황에서 예산을 투자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위험을 부담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에너지자립섬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건 kW당 전력거래단가인데 지금으로선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쉽지 않다. 업계에선 산업부가 지난해 10월 ‘도서지역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 전력거래 지침’을 고시했지만 반쪽짜리에 불과하다고 평가한다. 도서지역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가 확정돼야 제대로 된 수익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

도서지역 REC 가중치를 어느 수준으로 결정할 것인지에 대해선 현재 산업부가 연구용역을 발주해 오는 6월말 경 나올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연구용역을 마친 뒤에도 실제 고시가 발표되기까지는 한동안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구축사업을 진행 중인 울릉에너피아 관계자는 “그동안 사업성 분석이 늦어졌지만 어떻게 사업을 구성할지 설계는 모두 마쳤다”며 “예상대로 REC 가중치가 결정된다면 늦어도 올해 안에는 착공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