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가격 하락과 REC 신설로 시장 기대감 높아
수익성 높이는 게 관건, 비용 절감 방안 고민해야

태양광 발전과 연계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선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태양광 발전에 연계한 ESS에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을 주면서 가능성은 커졌지만 여전히 걸림돌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15일 에너지ICT융합지원센터와 한국에너지융합협회가 개최한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융합 시장 전망’ 세미나에서도 이와 같은 지적이 잇따랐다. 태양광 ESS 시장이 풍력 ESS보다 시장성이 좋은 건 사실이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오히려 불리한 측면도 있다는 주장들이 나왔다.

일단 태양광 연계 ESS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태양광 보급이 증가하면서 전력계통에 대한 부담도 증가하는 데다, ESS를 활용한 피크저감 효과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박사는 이날 세미나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는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에 따라 전력공급 안정화를 위해 1.3GW에 달하는 ESS를 설치하도록 했다”며 “ESS의 가장 큰 단점인 가격이 빠른 속도로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과 연계한 ESS 보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크고 작은 걸림돌이 시장 확산을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가 시장 확산의 계기로 작용할 수 있긴 하지만 실제 사업자들이 현장에 마주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는 것.

가장 큰 문제는 초기 투자비용을 마련하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일반 개인이 태양광 발전과 ESS 사업을 하고 싶어도 자본이 부족한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구 에스에너지 연구소장은 “금융 대출 상담을 했더니 시설이 아닌 토지에 대해서만 담보 대출이 가능했고, 토지와 시설을 포함해 담보 대출을 해주는 곳은 1곳뿐이었다”며 “정부가 다양한 금융지원 사업을 지원하고 있어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이용조건 완화, 금리 우대 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양광 ESS가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수익성을 높이는 게 관건인데 이를 방해하는 요인도 있다. 전기안전관리자 상주 비용이 대표적이다. 현재 1MW 이상 태양광 발전소에는 전기안전관리자가 상주해야 한다. 만약 500kW 태양광 발전에 1.5MWh ESS를 설치했을 때 용량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에 대해선 아직 명확한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ESS 용량과 태양광 발전용량을 합산할 경우 대부분의 발전소가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이에 대해선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SS 냉방부하로 인한 비용도 무시할 수 없다. ESS의 용량이 크든 작든 냉방비용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규모가 작은 발전소일수록 부담은 더 커진다.

이구 소장은 “냉방부하를 태양광 발전 전력으로 충당하도록 돼 있는데 그만큼 판매전력이 줄어 수익이 감소한다”며 “소규모 발전사업자에 한해 냉방부하를 계통 전력으로 충당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양광 ESS의 REC 판로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 제도하에서는 태양광 ESS의 REC를 현물시장에만 판매할 수 있어 PF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날 세미나 발표자로 나선 배성용 이맥스파워 대표는 “RPS 대상 발전공기업이 태양광 ESS REC를 자체입찰로 구매하거나 수의계약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며 “태양광처럼 ESS REC를 장기계약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배 대표는 또 “일부 ESS 제안사들이 ESS의 적정용량을 과하게 설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대로 된 수익성을 확보하려면 최적의 분석이 필요하다”며 “배터리와 PCS, EMS 등을 고려한 전문업체의 분석을 참고해 태양광 ESS 사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