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창 현 회장, 장태수 비츠로 회장 양자 구도
양자합의, 이사회 투표, 총회 투표 등 3가지 시나리오

한국전기산업진흥회는 지난 1990년 산업발전법에 근거, 국내 전기산업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 설립된 제조업 단체다.

설립 당시 117개사에 불과했던 진흥회 회원사는 2016년 현재 220개사로 늘어났고, 해외 50여개 유관기관과 협력관계를 맺는 등 전기산업 선도단체로서 위상과 역할이 커지고 있다.

불확실한 국내외 환경 속에서도 국내 중전기기 업계는 오는 2020년 수출 400억불 달성, 세계 5대 전기기기 수출 강국이라는 목표에 도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중전기기 업계의 구심점인 전기산업진흥회의 차기 수장을 누가, 어떻게 맡을 것인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누가? 장세창·장태수 회장 양자 대결

내년 2월에 선임되는 제12대 전기산업진흥회장은 장세창 현 회장과 장태수 비츠로그룹 회장의 양자 구도로 압축되는 분위기다.

장세창 현 회장(파워맥스 대표)은 연임될 경우 3선에 성공하게 된다. 역대 진흥회장 3선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7대, 8대, 9대 회장을 지낸 고(故) 김준철 회장이 유일하다.

장 회장은 차기 회장 선임과 관련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올 초부터 3선에 대한 의지를 직간접적으로 표명해왔다.

장 회장은 그동안 수행해왔던 여러 사업을 완성하기 위해서라도 한번 더 회장직을 수행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6년 동안 정부 조직내 ‘전기’ 명칭을 부활하는 데 큰 역할을 했고, 중전기기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전략 수립, 품목별 협의회 확대 및 활성화, 한전 에너지밸리센터 운영기관 지정 등 여러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도전하는 장태수 비츠로그룹 회장은 새로운 리더십을 역설하고 있다.

연 매출 3000억원대의 비츠로그룹은 전기산업계를 대표하는 중견그룹이다.

그는 지난 10월 본지와 인터뷰에서 “전기산업계가 영향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전기를 만들기 위해 진흥회장직에 출사표를 던졌다”며 “보수적·폐쇄적 사고방식을 뛰어넘는 혁신을 통해 전기산업계가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진흥회가 중심에 서겠다”고 말했다.

전기산업진흥회는 1990년 설립 이래 지금까지 이사회에서 단일 후보를 추천하면 총회에서 회장을 선임해왔으나, 내년 회장 선출은 사상 최초로 경선을 벌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기진흥회 정관에는 회장 선임과 관련, ‘이사회에서 추천하고, 총회에서 선임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2014년 2월 총회에서 개정된 것이다. 회장 선임시 이사회 추천과정을 추가한 것이다. 제11대 회장의 임기 만료일은 내년 2월 18일이고, 회장 임기가 정기총회 개최 전 만료될 경우엔 정기총회 완료시까지 자동 연장된다.

◆어떻게? 차기 회장 선임 시나리오 3가지

누가 될지도 관심사지만, 어떤 절차와 과정을 통해 선임되느냐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까지는 두 사람의 경쟁 구도가 계속 이어질 경우 차기 회장 선출 일정과 관련, 정해진 스케줄이 아무것도 없다.

참고로 11대 회장 선임은 2013년 12월 임원사 간담회에서 개략적인 논의를 한 뒤 정기총회에서 확정됐다.

업계에선 차기 진흥회장 선임과 관련해 3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우선 장세창 현 회장과 장태수 회장 중 어느 한쪽이 양보해 단독 후보를 이사회에서 추천하는 경우다. 역사적으로 전기진흥회장은 예외 없이 회원사의 만장일치 합의추대로 선임해왔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다. 양자의 합의를 위한 시간적인 여유도 아직은 충분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어느 한쪽이 스스로 회장직 도전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또 하나는 향후 이사회에서 임원들이 투표를 통해 회장 후보를 정하는 형태다. 합의추대가 어려울 경우 불가피하게 차선으로 선택될 수 있다. 진흥회 이사회는 의결권이 없는 감사 2명과 상근부회장을 제외하면 36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사회에서 회장 선임과 관련해 실제로 투표를 진행한 전례는 없기 때문에 만약 투표를 해야 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진행할 지 새로 규정을 정해야 한다.

양자 합의도, 이사회에서 ‘선 투표, 후 추천’도 여의치 않을 경우 마지막 선택지는 정기총회에서 회원사가 투표하는 방안이 남는다. 사실상 직선제 형태다. 경선 없이 회장을 선출해 온 진흥회의 전통을 감안할 때 회장직을 놓고 분열되는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기 때문에 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다.

업계 한 관계자는 “차기회장직에 대한 두 분의 뜻이 아무리 강해도 총회 투표 단계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 “중전기기 업계를 위해 봉사하는 자리인 만큼 이사회가 충분한 의견을 수렴한 후 합리적인 결정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